연수

< 함께 하는 나라사랑 교육-4일차 >

엑칼쌤 2019. 4. 10. 13:38

함께 하는 나라사랑 교육-4일차 / 13강-16강, 20강, 23강-24강



13강. UN군 참전 배경 및 의의


소련 대표 불참, 16개국 군사 파병

유럽 국가의 파병 이유-소련의 아시아 지배에 대한 우려

유엔군 참전-UN의 기본정신에 입각한 최초의 집단 헹동


7.1 미 스미스 특수임무대대 지상군 부산 도착

7.5 오산 죽미령 첫 전투

7. 14 작전통제권 유엔군사령관에게 위임

10. 1 38선 돌파-국군의 날

10. 13 중공이 참전 결정-대만과 한반도 양쪽으로 포위될 수 있다는 두려움 증가

1951. 4. 11 맥아더장군 해임-리지웨이사령관 취임


14강. UN군 참전국 바로 알기


* 유엔 참전국

1. 전투 파병국-16개국

2. 의료 지원국-5개국-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3. 물자 지원국-63개국


영연방의 공격(영, 호주, 뉴질랜드 연합군)-가평전투

네덜란드군의 공격-횡성전투

에티오피아-국왕 근위대 파견(칵뉴부대)-청의 삼각지대 배치

                유일한 아프리카 참전국

덴마크-유틀란디아호(병원선) 참전-의료진 파견

마오리족도 참전-마오리족의 전통 노래 부름, 연가로 알려진 노래

유엔군 참전의 날-7월 27일

덭투워드 행사-세게 유일의 유엔군 묘지가있는 부산을 향햐 1분간 묵념하는 것

흥남철수작전-크리스마스의 기적


15강. 함께 지키는 대한민국 1(한미동맹)


19세기 후반 연미론 대두-미국을 끌어들여 러시아의 남하정책과 일본의 침략을 막자는 논리


*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1.거중조정 항목-한 나라가 어려움을 당하면 돕는다는 것

2. 독립국으로 대우한 미국의 태도


1905년 을사보호조약으로 외교권이 박탈당하자 서울 주재 미국공사관을 제일 먼저 철수시킴

2차대전 당시 광복군 제 2, 3지대를 국내 정진군으로 조직

 -8월 20일 국내진입작전 계획함


*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과정


1950. 7. 14 한국군에 대한 작전지휘권을 유엔군총사령관 맥아더 장군에게 이양

트루먼 대통령-영국 : 핵무기 사용을 자제하기로 약속

1951. 4. 11 맥아더 장군 해임됨, 제한전으로 종결 희망

이승만은 미군과 유엔군이 가고 나면 북한이 재침할 것이라고하여 상호방위조약 체결 희망 

요구사항 관철을 위해 1953. 6. 18 반공포로 27.000명을 UN군 사령관 동의 없이 석방함

1953. 7월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델러스 국무장관)

미국이 공격을 당했을때는 한국이 의무를 지지 않음

편무 조약의 성격

미 8군사령관에게 군 지휘권이 넘어감

북한 침공시 미국 자동 개입 장치

SCM(한미안보협의회)-1968년 체결됨

 -주한미군이 주도적 역할에서 보조적 역할로 변경

  한국 정부가 더 많은 분담금을 지불할 것을 요구

  UN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에 한국군 장성 임명

  판문점 공동 경비 구역 경비 책임 일부를 한국군에 이관

2016년 기준 주한미군 26.000명 규모 주둔


16강. 함께 지키는 대한민국 2(한미동맹)



* 20강. 최근 북한의 도발과 잊지 말아야 할 영웅들의 희생


1999년 6월 15일 제 1 연평해전-북한 경비정의 NLL 침범 및 철수 반복

2002년 6월 29일 제 2 연평해전-당시 월드컵 열기중

                                          6명 전사

2010년 3월 26일 천안함 피격-46명 전사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도발-2명 전사


3월 넷째 금요일-서해 수호의 날


23강. 독도 바로 알기


10월 25일 독도의 날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는 조경 수역

일본인 하야시가 제작한 '삼국접양지도'에도 독도가 조선 땅으로 표시되어 있음

서도와 동도로 구성되어 있음


24강. 화해와 평화로 바라보는 동아시아 역사


동북 3성-요령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임나일본부설-한반도 남부지역에 진출하여 백제, 가야, 신라를 지배했고, 가야에는

                   일본부를 두어 6세기까지 직접 지배했다는 것

정한론-1879년대에 등장한 조선을 정복해야 한다는 주장

식민지 근대화론-일본의 지배 덕분에 조선이 근대화 되었다는 것

동북아역사재단-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에 대항하기 위해 노무현대통령 지시로 설립됨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