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사는 세상 만들기 다문화 교육 3일차 >
함께 사는 세상 만들기 다문화 교육 3일차
20강. 다문화 교육과 영화
의의-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동기를 높일 수 있음
다문화 교육의 효용성 증가
21강. 영화로 다문화 교육하기
교니를 찾아서-태군도장을 운영하는 주인공 이야기
반두비-가정 환경이 어려운 여고생 이야기
배낭을 맨 소년-탈북 청소년 이야기
험난한 인생-아이의 친구가 흑인이라는 것에 반대하는 주위의 시선
샤방샤방 샤랄라-초등학교 여학생이 엄마가 외국인이라는 것에 대해 고민하는 것
22강. 다문화 교육과 신문
신문의 기본 구성 요소
-기사, 사진, 만화, 표와 그래프, 광고
신문 활용 수업의 목적
-학생들의 인지 능력, 사고력 향상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
-사회에 대한 관심 증대
신문 활용 수업의 유형 ; 찾기-이해하기-평가하기-창조하기
스트레이트 기사-6하원칙에 따른 기사 서술을 강조하는 신문 기사의 종류
26강. 다문화 교육과 외국 문화 체험 활동
외국 문화 체험 활동을 통한 다문화 교육시 유의할 점
-이베트성 행사 지양
-또 다른 편견 발생 방지에 주의
-외국인 강사의 질 확보
28강. 다문화 교육과 지역사회 환원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의 의미
-지역사회에 속해 있는 다문화 교육 관련 자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노력이 중요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 유형
-인적 자원 활용 ; 전문가, 학부모 초빙 수업
-물적 자원 활용 ; 문화원 견학, 시민단체 활동 참여
-제도적 자원 활용 ; 지자체의 문화행사, 축제 참여
유의할 점
-지역사회 자원과 학교의 파트너쉽 구축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고찰
29강. 지역사회 자원으로 다문화 교육하기
멘토링-지역사회 전문가가 멘토가 되고, 다문화 가정 자녀가 멘티가 되어
그들의 적응과정을 돕는 것
30강. 다문화 교육과 프로젝트 학습
프로젝트 학습-어떤 정보를 찾거나 개선시키기 위해 설계된 일련의 계획된 작업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하는 의도적 활동
-목적 달성을 위해 치밀한 계획 수립
-장기간,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이 소요됨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소수 집단 학생들의 학습 참여 기회 확대 / 긍정적 자아 인식 형성에 도움
-소수 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 기여
-긍정적 인간 관계 형성 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