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잠 없어지는 이유는?
나이가 들면 아침잠이 없어진다고들 말한다. 젊었을 때와 달리 나이가 들면 아침잠이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숙면을 취하기 위해 깊은 수면인 '서파 수면' 단계를 거치게 된다. 정상적인 수면 구조를 가졌다면 깊은 서파 수면 단계에서 얕은 수면 단계인 '렘'으로 이어지는 주기를 하룻밤에
4~6회 반복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서파 수면이 줄어드는데, 청년기 수면의 20%를 차지하던 서파 수면이 중년에 이르면 3% 정도로 떨어진다. 이에 따라 얕은 잠을 자다가 잠에서 완전 깨고, 아침잠이 없어지게 된다.
더불어 뇌의 노화로 인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줄어드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머리에 물차는 뇌수두증 > (0) | 2020.09.08 |
---|---|
< '커피' 더 좋아지는 3가지, 하루 섭취기준 > (0) | 2020.01.19 |
< 소주 '원샷' 안압 높여 눈 공격 > (0) | 2018.11.25 |
< 벌에 쏘였을 땐 침 뺀 뒤 얼음찜질해야 독 안 퍼져 > (0) | 2018.04.24 |
< 떡 먹다 기도막히면? 하임리히법 > (0) | 2018.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