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 일반 59

< 백제와 고구려 두 왕의 승부수. 한성 전투 >

백제와 고구려 두 왕의 승부수. 한성 전투 "475년 가을 9월에 고구려왕 거련(巨璉·장수왕)이 군사 3만명을 이끌고 와서 왕도인 한성을 포위하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중에서)지금으로부터 1천550년 전 백제와 고구려가 맞붙었다.그에 앞서 왕위에 오른 개로왕(재위 455∼475)은 왕권을 강화하고 지방 통치 체제를 정비하는 등 나라의 힘을 기르고자 했으나, 상황은 여의치 않았다.백제는 472년 북위에 고구려를 함께 공격하자는 내용을 담은 국서를 보냈고, 고구려를 '승냥이와 이리'에 빗대며 격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치열한 전투가 이어졌지만, 며칠 만에 백제의 북성과 남성이 잇달아 함락됐다. 백제가 한성 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터, 웅진(지금의 공주)으로 옮기게 된 역사적 순간이다. 475년 9월 백..

고대사 일반 2025.09.15

< 옥저海 건너온 북미 선주민들 >

옥저海 건너온 북미 선주민들 캐나다 알버타주 캘거리는 로키의 관문이면서도, 3만~1000년 전 꾸준히 아메리카를 개척하며 드넓은 북미에서 다양하게 분화하며 살아오던 선주민과 17세기 이후 본격화된 유럽발 이주민의 여러 문화가 비교적 잘 보존된 도시이다. 북미 어느 도시 보다도 선주민에 대한 존경심을 잘 발휘하는 곳이다.북미 선주민이 동북아시아에서 출발해 옥저(오츠크)해, 쿠릴열도, 알류산열도, 캄차카 반도, 베링해를 통해 북아메리카로 건너왔다는 학설은 이제 정설이 됐고, 한민족과 연결돼 있다는 이론도 자주 등장한다. ▶수만년 구대륙을 신대륙이라고 400년간 사기친 유럽인들 “옥저(‘오츠크’) 바다를 건너 유콘(‘웃강’)을 지나 유타(‘웃터’)로 왔다. ‘모인 데가 강’인 부족은 모이강(모히간)으로 부르게..

고대사 일반 2025.02.06

< 삼국 격전의 현장, 온달산성 >

삼국 격전의 현장, 온달산성 온달산성은 보은의 삼년산성, 상주의 견훤산성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 산성으로 꼽힌다. 그중 온달산성은 주변 풍광이 멋질 뿐 아니라 산성 자체가 매우 아름답다. 튼튼하고 균형 있게 잘 만들어진 산성은 비록 군사용일지라도 미적 감성을 자극한다. 온달산성은 고대에 지어졌음에도 서쪽 구간 약 100m가 무너졌을 뿐 대체로 잘 보존돼 있다. 워낙 견고하게 잘 지어졌기 때문이다. 두께 5∼15㎝ 정도의 비교적 얇고, 잘 다듬어진 돌로 쌓은 성벽은 고풍스러운 멋을 풍기는 축조물이다. 성돌의 크기는 가로 70㎝, 세로 40㎝ 정도다. 온달산성은 해발고도 427m의 산 정상에 축조된 테뫼식 석성이다. 둘레는 683m로 크지 않다. 테뫼 산성은 산 정상을 둘러싼 성을 말한다. 동·남·북쪽의 문 ..

고대사 일반 2021.01.13

< 내가 보는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원인 >

내가 보는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원인 백제와 신라의 관산성전투에서 성왕이 전사하고... 혜왕과 법왕이 왕위에 오르지만 3년만에 사망하고... 뒤를 이을 왕이 없자 수소문 끝에 찾아낸 서동(마동). '서동요'로 알려진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 지금의 익산이 고향인 그는 자신의 고향에 동양 최대의 사찰인 미륵사를 창건하는 등 수도 천도를 시도하지만 기존 집권 세력의 반대로 무산되자 익산을 신라를 공격하는 전초 기지로 활용하였다. 그 뒤를 이은 의자왕. 의롭고 자비로운 왕. 그는 어머니가 상대국인 신라의 공주 출신임에 초반 신라 공격을 주저하였으나, 곧 신라를 공격하기 시작하여 신라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개의 성을 차지하였다. 재위 15년까지는 꾸준히 왕권 강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다가 '은고'라는 여자의 전횡..

고대사 일반 2018.08.13

< "신라-백제 동맹은 백제가 주도. '제라 동맹'으로 바꿔야" >

"신라-백제 동맹은 백제가 주도. '제라 동맹'으로 바꿔야" 나제동맹은 사실상 백제의 주도로 이뤄졌기 때문에 제라동맹이 맞다. 일반적으로 부르는 나제동맹은 신라를 역사의 적통으로 삼는 학계의 관행적 표현이며 고구려의 공격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백제는 세 번에 걸쳐 신라에 먼저 사신과 예물을 보내는 등 적극적으로 노력했고, 이로써 동맹이 이뤄졌기 때문에 제라동맹으로 바꿔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이는 신라가 나제동맹으로 백제의 선진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뜻이며, 백제의 주도성을 강조했다.

고대사 일반 201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