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

< 문화유산 여행! 대한민국 테마 기행 4일차 >

엑칼쌤 2019. 8. 3. 11:42

문화유산 여행! 대한민국 테마 기행 4일차



22강. 강원도 DMZ 안보여행


비무장 지대 안 남한 자유의 마을-납세와 병역 의무가 면제됨


경원선 열차

-서울에서 원산까지

-마지막 종착역 철원 백마고지역


철원 노동당사 건물-러시아식 무철근 공법으로 건축됨


화천-양구 파로호

-한국전쟁 당시 중공군을 격파한 호수

-깨뜨릴 파, 오랑캐 호


한국 평화의 댐-북한 임남댐


제 1 땅굴-연천군 고랑포

제 2 땅굴-철원

제 3 땅굴-판문점 부근

제 4 땅굴-양구


23강. 홍주에서 홍성까지 천년 여행


홍주성-백제 부흥군의 거점이었던 주류성으로 추정


민종식-을사의병


일제가 1914년 홍주의 지명을 홍성으로 바꿈


김좌진 장군의 고향-공산주의자 박상실에게 암살됨


이응노화백-1976년 동백림 간첩 조작 사건.


24강. 대가야의 숨결을 품은 곳


고령 지산리 고분군

-고분 704기가 밀집되어 있음


지산리 44호 고분

-우리나라 최초로 확인된 대규모 순장 무덤


우륵

-가야금

-551년 신라로 망명


25강. 괴산, 옛 정취를 따라서


조선시대 만동묘에서 명나라 황제에게 제사를 지낸 이유

-임진왜란때 병력을 보내준 명 황제 신종과 마지막 의종의 위패를 모신 곳


화양서원-우암 송시열이 세운 서원


김홍도가 3년간 현감을 지냄


연풍성지-신유박해때 100여 명 순교


한지 원료-닥나무 / 제조 과정

-1. 닥나무 껍질을 벗겨 잿물로 삶음

-2. 두드려서 물에 품

-3. 대나무 발을 이용해 섬유를 건져 올림

-4. 물을 짜고 말림


26강. 옛 길을 따라 과거의 흔적을 만나는 곳


문경새재

-한강과 낙동강을 잇는 영남대로상의 가장 높고 험준한 고개

-새재 ;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라는 뜻


홍패-과거 합격자에게 주는 합격증서

어사화-급제한 사람에게 하사한 종이꽃

조령원-고려-조선시대 출장온 관리들이 이용한 숙박 시설

교귀정-신, 구 경상감사가 업무를 인수인게하던 장소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 한양을 보호하기 위해 주홀관, 조곡관, 조령관을 쌓음


도자기를 구울 때는-소나무

숯을 만들 때는-참나무 사용


진폐증-탄분 등을 들이마신 후 폐질환이 유발되는 증상


고모산성-포곡식 산성


27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보물


제주도를 이루고 있는 수성화산

세계 지질 공원으로 인증됨-화산 활동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음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됨

세계 자연 유산 등재


성산 일출봉

-바다에서 만들어진 화산체

-마그마가 물 속에서 올라오면서 폭발하여 완성됨

-등반 미션 ; 처녀바위-등경돌-초관바위-곰바위-전망대-정상


용머리해안

-수성 화산 활동에 의해 생김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땅(최초의 화산체)


수월봉

-물과 용암이 만나 탄생한 수성 화산

-세계 지질 공원의 1등 공신

-해안 절벽을 따라 노출된 화산쇄설암


-분출된 용암이 바다로 흘러와 물과 만나 급격히 수축하면서 만들어진 사각형, 육각형 기둥

-하늘로 튕겨져나온 암석덩어리들이 지층 위에 떨어져 지층이 휘어지면서 형성됨


주상절리대

-분출된 용암이 바다로 흘러와 물과 만나 급격히 수축하면서 만들어진 사각형, 육각형 기둥


서귀포층

-현무암질과 화산쇄설암으로 구성됨

-땅 위에서 유일하게 관찰되는 장소(서귀포 해안)


만장굴

-세계 최장의 용암 동굴

-총 길이 7km


서귀포 패류화석층

-신생대 제 4기에 생성됨

-우리나라에서 가장 나중에 만들어진 장소


28강. 통도사 암자 기행(영축산)


국내 3대 사찰 - 해인사-법보사찰, 송광사-승보사찰, 통도사-불보사찰


일주문-천왕문-대웅전


통도사 대웅전의 특징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셔서 대웅전내 불상이 없음


통도사 영산전

-부처의 일생을 기록한 팔성도 봉안


서운암





-삼천불전 - 도자롤 만든 3천 개의 불상이 모셔진 곳 

-들꽃 축제로 이름난 곳 


백운암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암자


미타암



-벼랑 끝 절벽에 위치함

-선덕여왕대 원효대사가 창건함

-천성산 절벽 석굴 안에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이 모셔져 있음



금강계단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사리탑


수계의식

-불가에 귀의하는 첫 관문으로 행동규범을 불자답게 하겠다는 의식




죽비


-수행자를 지도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흐트러진 정신을 깨우는 소리


그랭이질

-나무를 주춧돌의 모양대로 깍아서 기둥을 세우는 방법


29강. 정읍,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엔.


무성서원-최치원의 위패를 모심


백제 가요 정읍사

-행상을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마음을 달님에게 기원하는 내용

-유일하게 전해오는 백제 노래로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가장 오래된 가요.


병오창의기적비

-최익현 선생의 주도로 호남 지역 의병들 거시

-호남 의병의 시발점

-남한대토벌작전(1909)


내장사

-백제 무왕대 창건


내장산 우화정

-정자에 날개가 돋아 승천하였다.


30강. 화순, 힐링 투어


화순적벽

-기묘사화 후 유배온 최산두가 중국 양쯔강보다 아름답다하여 화순적벽이라 명명

-백악기때 형성됨

-노루목적벽, 보산리적벽, 창랑리적벽, 물영적벽 등 4개 군으로 구성됨


김삿갓 김병연

-막힌 벼슬길을 한탄하며 방랑을 시작, 화순에서 생을 마감함


숲정이-마을 근처 숲을 그리키는 순 우리말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 ; 많이 있다는 상징적 의미

-와불 ;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불이 함께 조각되어 있음

-"와불이 일어서는 날 새로운 세상이 열리리라"

-원형 다층석탑

-석조불감 ; 탑 안에 석불을 모심

-칠성바위 ; 7개의 원반형 바위, 북두칠성 위치와 일치


고인돌 유적지

-최대 밀집 분포(400여기)

-초대형 고인돌 분포

-채석장이 발견됨(위 산 기슭)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


화순-1.300여 기 / 고창-1.200여 기 / 강화 - 80여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