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문도사건 > 거문도사건 거문도는 제주도와 여수의 중간에 자리잡고 있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섬이다. 이런 이유로 거문도항은 열강의 침입을 자주 받아왔다. 특히 러시아는 이곳을 전초 기지로 삼으려 했다. 외세의 대립이 극심하던 구한말,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다는 구실을 내세워 거.. 개항기 - 1910 2018.01.14
< 서양식 역법인 태양력 채용 > 서양식 역법인 태양력 채용 고종 32년 9월 9일 (병오) 력법을 개정하여 태양력을 사용하되 개국 504년 11월 17일로써 개국 505년 1월 1일로 삼으라고 조칙을 내리다 . 이와 함께 각국 사신에게 이를 통고하다 . -고종실록 고종 32년 9월 9일 1896년 1월 1일은 대한제국이 완전한 서양식 역법인 태양.. 개항기 - 1910 2018.01.01
< 청일전쟁 당시 조선군은 왜 서로 총구를 겨눠야했을까? > 청일전쟁 당시 조선군은 왜 서로 총구를 겨눠야했을까? 청일전쟁 직전까지 동학군을 토벌했다는 조선의 '관군'은 대체 뭘했을까? 중앙에서 파견된 장위영(壯衛營) 군대는 일본군과 연합해 청군과 싸웠고, 당시 평양감사가 이끌던 평양의 지방주둔군인 위수병(偉戌兵)들은 청군과 연합해 .. 개항기 - 1910 2017.09.26
< 우리는 어떻게 나라를 빼앗겼나? > 우리는 어떻게 나라를 빼앗겼나? 1910년 7월 23일, '강경파'인 3대 통감 데라우치가 입국했다. 그의 임무는 단순했다. 대한제국을 멸망시키고 한반도를 완전히 일제의 통제 하에 두도록 기반을 닦는 것이었다. 데라우치가 입국하자 대한제국 멸망은 기정사실화가 됐다. 친일파에게는 이제 .. 개항기 - 1910 2017.08.29
< 용산의 아픔 > 용산의 아픔 용산 미군기지 일대는 우리 민족에게는 '아픔의 땅'이다. 임오군란(1882년)과 동학농민운동(1894년) 진압을 빌미로 조선에 군대를 파견한 일제는 한일의정서를 맺은 뒤 용산 일대를 군 기지 수용지로 선정했다. 이후 1906년∼1907년 용산기지 자리에 있던 둔지미 마을을 강제 철거.. 개항기 - 1910 2017.08.25
< 제너럴 셔먼호 사건-병인양요-신미양요 > 제너럴 셔먼호 사건-병인양요-신미양요 1866년 8월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가 평양에서 조선 측에 통상을 요구하다가 성난 군민들에 의해 불탄, 이른바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발생한다. 이 사건 이후 조선왕조에 대한 서구 열강의 침탈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제너럴 셔먼호는 미국의 .. 개항기 - 1910 2017.08.21
< 고종황제는 정말 독이 든 '식혜'를 마셨던걸까? > 고종황제는 정말 독이 든 '식혜'를 마셨던걸까? 고종황제는 1907년, 헤이그 밀사 사건을 빌미로 강제 퇴위 당했으며 이후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의해 완전히 멸망하면서 '이태왕'이란 칭호로 격하됨과 동시에 그를 모시던 궁인들의 숫자가 크게 격감됐다. 수백명이 단계별로 그의 신변.. 개항기 - 1910 2017.08.07
< 일제에 의해 군대가 강제해산된 날 > 일제에 의해 군대가 강제해산된 날 1907년 8월1일은 흔히 정미7조약으로 알려진 제 3차 한일협약에 따라 일제가 대한제국의 군대를 강제해산한 날이다. 대한제국 군대는 해산에 항거해 서울 남대문 일대에서 일본군과 교전했으나 중과부적으로 패배해 흩어졌고 교전했던 상당수 군사들은 .. 개항기 - 1910 2017.08.01
< 고려인 강제이주 80년-신한촌의 어제와 오늘 > 고려인 강제이주 80년-신한촌의 어제와 오늘 러시아 공식 문서에 따르면 1864년 한민족이 연해주(沿海州·프리모르스키)의 지신허(地新墟·치진헤) 마을로 이주해 살았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착취와 기근을 피해 두만강을 넘는 조선인은 해가 갈수록 불어났고 이 가운데 상당수는 러시아.. 개항기 - 1910 2017.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