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

< New 찾아가는 사이버 독도 교실-1일차 >

엑칼쌤 2021. 8. 6. 05:39

New 찾아가는 사이버 독도 교실-1일차 

 

 

1강. 독도의 위치와 현황.

 

해저에서 화산 폭발로 형성됨.

독도가 울릉도보다 먼저 형성됨.

서도-안용복 해산-동도-이사부 해산

물골-물이 나와서 물을 길어 쓸 수 있는 곳

서도-주민 숙소(물골)

동도-독도 경비대

 

2강. 독도의 생태계와 자원

 

파식대-파랑의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

해식애-해안 절벽

타포니-염풍화 작용으로 형성(마이산 바위 구멍)

 

강치-일본의 남획, 미군기의 폭격 연습으로 멸종

심층수-수심 200m보다 깊은 심해에 존재하는 물

 

3강. 근대 이전 사료에 나타난 독도

 

우산도라 불렀음

 / 우산국=울릉도를 칭했음

  / 일본측 울릉도를 죽도, 독도를 송도라 칭했음

 

쇄환정책 ; 섬의 주민들을 육지로 나오게 한 것

-수토정책 실시, 수토관 파견 ; 주기적으로 울릉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 파악

-1894년 수토 정책 폐지, 울릉도에 사람이 살게함

 

4강. 고지도에 나타난 독도

 

우산도가 처음 등장하는 고지도-<신증동국여지승람(1530)> 팔도총도

정상기-<동국지도>가 가장 유사하게 묘사되어 있음

 

태정관-메이지시대 최고 행정 기관

태정관 지령(1877)

-울릉도, 독도가 일본과 무관하다는 '기죽도 약도'를 첨부

-독도가 일본 영토가 아니라고 일본이 인정한 최초의 공문서

 

1857년 러시아 해군 팔라다호 장교 한반도 동해안 세밀하게 측량 '조선 동해안도'

-최초로 독도를 두 개의 섬으로 표시, 조선령으로 표기

 

5강. 근대기 조일관계의 급변과 울릉도 개척

 

고종대 울릉도 조사 결과

-조선인 140명, 일본인 78명

-조선인 중 전라도인이 다수

-수토 정책 폐지, 1883년 울릉도 개척령 실시

 

김옥균

-동남제도 개척사 겸 포경사로 임명

-본격적으로 울릉도 개척 시작

 

조일통상장정(1883) 체결

-일본 어민들의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에서의 출어 허락

 

조일통어장정(1889)

-조선 해안에서 일본 어민의 자유로운 조업 활동 허락

-조업 활동과 불법 벌목 밀반출

 

프랑스 리앙쿠르호가 발견 후 '라앙쿠르 록스'라 명명(1894)

일본측 울릉도를 죽도, 독도를 송도라 칭했음

독도 명칭이 기록된 현존 최고 자료는 1904년 일본 군한 니타카호 행동일지이다.

 

6강. 대한제국의 독도 영유와 관리

 

1903년 일본인의 독도 불법 강치(바다사자) 포획이 시작됨.

1904-1905년 어획한 강치에 대해서는 울릉군수에 수출세를 납부함

1904년 2.760 마리의 강치 포획

 

나카이 요자부로가 강치잡이 일본 정부에 의뢰

-조선인은 경영에 관여하지 않고 있으니 당연히 일본 영토로 편입되어야 한다고 회신이 옴 

-1905. 1. 28 일본 내각 '무인도 소속에 관한 건'을 각료 회의로 결정

-1905. 2. 22. 시마네현 고시 40호로 독도 편입

-1905. 6. 5. 독도 강치 포획 허가

 

7강. 러일전쟁과 일본의 독도 침탈

 

일본 메이지 유신(1868)-대만 침략(1874)-강화도 조약(1876)-동학농민운동(1894)

 -청일전쟁(1894)-러일전쟁(1904)

 

* 당시 일본과 대립국

 

청-조선의 종주국 자처

러시아-시베리아 철도 건설, 부동항 획득을 위한 남진 정책  

        -의화단 사건 계기로 만주 점령(1900), 남진 정책 실시

 

청일전쟁 일본 승리-시모노세키 조약-타이완, 요동 반도 차지(1895.4.17)-삼국간섭으로 반환(1895.4.23)

 

조선이 러시아 공사 베베르와 함께 친일 세력 제거

 -일본이 을미사변(1895.10)을 일으킴-을미의병-고종이 왕세자와 함께 아관파천(1897-1897)

 

대한제국 국외 중립 선언

 

일본 함대의 뤼순항 러시아 함대 기습 공격(1904.2.8)

 -뤼순항에서 나오지 못하게 하는데 성공-뤼순항 함락(1905.1)

러시아 발틱 함대는 극동에서 일본 함대와 전투 결정

 - 동해 해전(1905.5.27-28) ; 발틱 함대와 일본 연합 함대의 격전 / 일본군 승리

-포츠머드 강화 조약 체결(1905.9) ; 북위 50도 이남의 사할린 양도

 

* 한일의정서 체결(1904.2.23)

-군사 기지 사용권 박탈 / 황무지 개척권 요구

-철도 부설권 박탈

 

* 1차 한일협약(1904.8.22)

-고문 정치(재정-일본인 고문, 외교-외국인 고문 / 스티븐슨)

 

* 2차 한일협약-을사보호조약 체결(1905.11.17)

-통감 정치(이토 히로부미)

-외교권 박탈

 

* 한일신협약(1906.2)

-대한 제국 군대 강제 해산

 

* 한일합방(1910.8.29)

 

8강. 광복 후의 독도

 

1945. 9. 2 일본 항복문서에 서명

1952. 4. 28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대일 평화 조약)

연합국 최고사령관의 지령 677호, 1033

-일본 정부는 지배하고 있던 점령지에 대한 권력 행사를 정지할 것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인정

 

이승만대통령이 평화선 설정

 

독도 폭격 사건

-미 공군기의 제 1차 독도 폭격(1948.6.8)

-미 오키나와에 주둔 중인 폭격기가 폭탄 투하, 기관총 사격

-독도 인근에서 조업하던 울릉도 어민 다수 사상(14-16명 사망)

 

독도 의용수비대

-상이 군인등 33명의 수비대원으로 조직 

-1955년 1월부터 경찰이 상주, 독도 경비를 맡음

 

경북지방경찰청 울릉경비대 창설(1996년 6월)

-동도 정상부 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