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

< New 찾아가는 사이버 독도 교실-2일차 >

엑칼쌤 2021. 8. 7. 09:25

New 찾아가는 사이버 독도 교실-2일차 

 

 

9강. 독도와 해양법

 

'유엔해양법협약'으로 새로 등장한 개념-배타적 경제 수역

섬과 암석의 구분 기준-독자적인 경제생활 가능성

 

10강. 국제 독서 영유권 문제와 독도의 차이점

 

 

11강.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논리, 분석과 비판

 

일본측 기록 ; 울릉도-죽도, 독도-송도로 기록되어 있음.

일본이 독도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 내자고 하는 이유 중 하나

-아무래도 원고(일본)라고 하면 우월한 지위에 있는 것처럼 보임

 

12강. 일본 독도 정책의 변화

 

 

13강. 일본의 독도 교육 현황과 문제점

 

시마네현 오키섬

-독도에 대한 지역 학습이 최초로 실시된 곳

-초, 중학교 사회과 교사들이 연구회를 만들어 교육 활동을 전개

 

14강. 동, 서양 고지도에서의 '동해'

 

'동해' 표기가 처음으로 보이는 자료

-<삼국사기> 고구려본기-1145년 편찬

 

우리나라에서 '동해' 지명이 최초로 표기된 고지도

-<팔도총도(1531)> / <동국여지승람>에 첨부되어 있음

 

조선 후기부터 지도에 바다 명칭을 표기하기 시작함

 

일본 고서, 고지도 등에는 '북해'라고 표기되어 있음.

러일전쟁을 계기로 '일본해'라는 명칭이 정착하게 됨.

 

15강. '동해, 일본해' 병기에 대한 한국의 입장

 

국제수로기구(IHO)

일본에서 '일본해' 명칭이 정착하게 된 계기

-러일전쟁 직후

 

국제수로국에서 1928년 '동해'가 '일본해'로 명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