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

< 만주·연해주 독립운동의 현장을 가다-1일차 >

엑칼쌤 2021. 8. 20. 21:22

만주·연해주 독립운동의 현장을 가다-1일차

 

1강. 만주·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개관

 

1) 1910년대

삼원보-백두산 위(서간도), 신흥 강습소(신흥무관학교),

용정-두만강 위(북간도),

신한촌-블라디보스토크, 대한 광복군 정부

 

의열단-1919년 길림성에서 김원봉 중심으로 조직

         일제 요인 암살과 식민통치기관 파괴가 목적

         활동 지침-신채호 '조선혁명선언'

 

2) 1920년대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간도 참변

-러시아 내륙 자유시로 이동

 

미쓰야 협정(1925)

-일제와 만주 군벌이 합동으로 독립군을 체포하고 소탕한 독립군들을 일제에 인도한다는 것

 

3) 1930년대

1920년대 후반 국내에서 민족유일당 운동이 전개됨

만주에서도 통합 운동이 전개됨

국민부, 혁신의회로 재편

지청천-한국 독립군, 양세봉-조선 혁명군

 

2강. 블라디보스토크 개척리 지역에서의 독립운동

 

1874년경부터 한인들의 집단 거주지 개척리 마을 형성됨

-콜레라 예방을 이유로 신한촌으로 이주시킴

 

성명회

-연해주 최초의 독립운동 단체

-이상설, 이범윤, 유인석 중심

-1910년 일제의 압력으로 해체죔

 

해조신문 간행

-러시아 거주 한인 사회의 최초의 순한글 신문

 

1908년 일제 '신문지법' 개정

-해외교포 발행 신문의 국내 판매를 금지하고 압수함

 

3강.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 지역에서의 독립운동

 

독립운동 단체

-권업회

 

노인동맹단(대한노인단)

 -강우규 의사 서울역 앞 사이토 총독 폭탄 투척

 

1893년 러시아 당국에서 한인들 집단 거주 구역을 설정-개척리

개척리에서 신한촌으로 이동

신한촌 건설 ; 새로운 한국을 부흥시킨다는 의미

권업회

-연해주 한인들의 자치 기관

-1911년 신한촌에서 조직된 항일독립운동단체

-대한광복군 정부 수립

 

1937년 중앙 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어 신한촌 폐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