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사

<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전격 합의. 전쟁 발발 13개월만 >

엑칼쌤 2024. 11. 27. 07:30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 전격 합의. 전쟁 발발 13개월만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친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 간 일시 휴전안이 전격 타결됐다. 60일간 양측의 공습과 교전이 중단된다. 지난해 10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기습당하고 헤즈볼라와 교전을 시작한 지 13개월 만에 포성이 멎게 되는 것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헤즈볼라가 합의를 깬다면 우리는 이들을 공격할 것”이라며 “헤즈볼라가 국경 부근 테러 시설을 재건하거나, 로켓을 쏘거나, 땅굴을 파거나, 미사일을 실은 트럭을 몰고 오면 우리는 공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휴전 이후에도) 우리는 미국의 완전한 이해 속에 레바논에서 완전한 행동의 자유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헤즈볼라를 수십 년 전으로 퇴보시켰다"라며 "북부 주민들을 집으로 돌려보내고, 가자지구에 남은 인질을 귀환시키는 것이 우리의 임무”라고 말했다. 휴전 기간에 대해서는 “상황이 어떻게 펼쳐지는지에 달려 있다”고 했다.

미국이 제시한 휴전안에는 60일간 일시 휴전하면서 이스라엘군이 레바논 남부에서 철수하고, 헤즈볼라의 중화기를 이스라엘 국경에서 약 30㎞ 떨어진 레바논 리타니강 북쪽으로 물러나는 내용이 담겼다. 이스라엘-레바논 ‘블루라인’(유엔이 설정한 양측 경계선) 국경 지대에는 레바논군 수천 명을 추가로 투입, 레바논 주둔 유엔평화유지군(UNIFIL)과 함께 무력충돌을 막도록 한다는 것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레바논이 휴전 합의를 받아들였다”며 협상을 중재한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했다. 또 “지옥을 지나온 가자지구 주민들도 교전 중단을 맞이해야 마땅하다”라며 가자 휴전도 촉구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향해서도 “하마스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라며 “(이스라엘인) 인질을 석방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휴전이 성사됐다는 발표 이후에도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일대에 이스라엘군의 공습이 이어졌다고 AP 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휴전이 발효되기 전에 헤즈볼라의 잔존 위협을 제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또 헤즈볼라에 합의를 위반하지 말라는 경고성 메시지를 전달함과 동시에 휴전 합의에 반발하는 국내 여론을 달래려는 의도로도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