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제공에게 건넨 영조의 금등문서 무엇 ? > 채제공에게 건넨 영조의 금등문서 무엇 ? 금등문서는 금등이란 쇠줄로 단단히 봉하여 비서(문서)를 넣어두는 상자를 말하는데 이는 중국 주왕조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생인 주공이 하늘에게 무왕의 병을 낫게 해주고 대신 자신을 데려가라 빌었던 것에서 유래하는 말로 신하가 임금을 위해 목숨.. 조선시대 2009.06.13
< 대마도가 한국에 의존을 많이 하는 이유 > 대마도가 한국에 의존을 많이 하는 이유 대마도(쓰시마)는 독도·간도와 함께 한국인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는 땅입니다. 그리고 대마도는 간도와 함께 외교적 문제의 진원지가 될 수도 있는 곳입니다. 한국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이곳 대마도를, 1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간 집중적으로 여행했.. 조선시대 2009.06.13
< 세종이 가출했었다 ? > 세종이 가출했었다 ? 조선 시대의 '왕'은 절대 권력자였다. 그가 마음을 먹는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 그러나 함규진은 그런 왕에게도 '투쟁'이 있었다고 말한다. 세상을 다 얻은 것 같은 왕이 무엇을 투쟁한단 말인가? 과연 그것이 있기는 한 것일까? 있단다. 저자는 < 왕의 투쟁 > 에서 세종, 연산.. 조선시대 2009.06.13
< 정조가 10년 더 살았다면 > 정조가 10년 더 살았다면 '비운의 임금' 신드롬… 시대 상황에서 비슷한 안타까움을 느끼는 것일까 사람들은 그의 시련에 얼굴을 찡그리고, 그의 적들에 분노하며, 그에게 닥쳤던 갑작스런 죽음에 가슴 아파한다. 사람들은 왜 정조에 환호하는가. 창덕궁 낙선재를 오른쪽으로 스치고 지나 북쪽으로 길.. 조선시대 2009.06.13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세계일주 나선 역관들 >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세계일주 나선 역관들 세계가 둥글다는 지식이 보편화되고 교통이 발달하면서 서양에서는 세계일주가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다. 유럽에서는 세계일주에 나선 귀족들이 많았으며, 누가 더 빨리 세계일주를 하는지 내기를 걸기도 했다. 그런 소재로 1870년대에 쓴 작품.. 조선시대 2009.06.13
< 日에서 왕처럼 대접받은 조선 통신사 > 日에서 왕처럼 대접받은 조선 통신사 일본내 '한류의 원조'라면 흔히 조선통신사가 거론된다. 그들은 막부에 대한 동향 탐지, 일본인 개화 등을 이유로 17-18세기에 집중적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조선통신사는 막부의 융숭한 대접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대체 어떤 대접을 받았을까. 제임스 루이스 .. 조선시대 2009.06.11
< 거제 칠천도 해저에서 거북선 확인될까 > 거제 칠천도 해저에서 거북선 확인될까 지난해 임진왜란 당시 수군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그릇 등을 건져올렸던 거제 칠천도 주변 해저에서 올해는 거북선 파편을 발굴할 수 있을까? '거북선을 찾아라!' 등 이순신 프로젝트를 추진중인 경남도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오는 14일부터 탐사업체.. 조선시대 2009.06.11
< 임진왜란 때 한국판 배트맨 있었다? > 임진왜란 때 한국판 배트맨 있었다? 일본군이 전라도로 북상하던 중 진주성에서 대치하게 됐다. 일본군이 성을 포위하고 있을 때 홀연히 비차(혹은 비거-하늘을 나는 수레)가 날아들었다. 고립된 진주성은 이 비차를 이용, 외부와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사람을 탈출시키기까지 했다. 이규경의 '오주연.. 조선시대 2009.06.11
< 다혈질의 막후 정치가 정조 > 다혈질의 막후 정치가 정조 비밀편지로 드러난 '정조와 그의 시대'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B4%D9%BB%EA+%C1%A4%BE%E0%BF%EB&nil_profile=newskwd&nil_id=v20090209110235780" target=new>다산 정약용의 글이나 행적을 보면 대단히 격정적인 인물이다. 그래서 화를 참지 못하고 속에 있는 말을 생각.. 조선시대 2009.06.11
< 정보 부재 불안에 시달렸던 정조 > 정보 부재 불안에 시달렸던 정조 비밀어찰의 개가는 '심환지의 재발견' 이조판서와 우의정을 지냈던 심환지(沈煥之)에게 보낸 조선국왕 정조의 비밀어찰 297통은 '어찰정치'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이 18일 전모를 드러낸 이들 편지는 지난 2월 어찰첩 발굴공개 당시 이미 .. 조선시대 2009.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