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베트 >
1912년 청나라가 멸망한 이후 티베트의 13대 달라이 라마는 중화민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선언한다. 하지만 중화민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에 따라 1913년 몽골과 양측이 독립 국가로 국제적인 승인을 받기 위해 협력한다는 내용으로 몽장 조약을 체결하였다. 몽골에는 러시아, 티베트에는 영국이 무기, 차관을 제공하는 등 외부의 지원이 있었으나, 당시 강대국들은 몽골과 티베트를 독립국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티베트 독립 이후에 중국국민당 등의 중화민국의 역대정권과 군사적인 긴장상태가 유지되었으며, 티베트 달라이 라마 정부의 실효적 지배 영역 내에서는 어떠한 중국의 기관도 설치가 승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1918년과 1930년에는 티베트 영내로 침입한 중국 군대를 격퇴하는 등 사실상 독립국으로서의 지위를 향유했다. 그러나, 1940년 달라이 라마 14세의 즉위식에 참석한 중화민국은 행정원몽장위원회를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그러나 의식 후에도 귀국하지 않았고 1948년에 강제로 퇴거되기까지 '중화민국 행정원 몽장위원회 주 티베트 대표처'라는 이름으로 라싸에 계속 머물렀다.
제2차세계대전 중에는 연합군의 일원이 되었고, 영국령 인도로부터 이주해 온 영국군에 의해 갼세, 라싸와 카무 지방 각지에 통신기지가 건설되었다. 이 기지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인민해방군이 티베트를 무력 점령할때까지 영국군의 무선기사에 의해 운영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2차 세계 대전교전국 연합국 소련 미국 영국 중화민국 프랑스 폴란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남아프리카 연방 그 외... 추축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1943) 이탈리아 사
ko.wikipedia.org
< 중국의 지배 >
청나라의 멸망 이후, 중화민국의 역대정권은 독립국으로서 존재한 티베트를 중국의 일부라고 주장하였으나, 북경정권의 시대에는 군벌의 혼전, 남경국민정부 시대에는 대일전쟁으로 독립을 주장하는 티베트에 대하여 압력은 행사하였으나 본격적인 군사적 침략은 하지 못했다. 하지만,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지고 중국 대륙이 어느 정도 안정되자 티베트와 타이완을 포함한 중국의 옛 영토를 회복하겠다고 발표한다. 1950년 10월 중국 인민해방군은 티베트를 침공하여 점령하였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티베트의 평화적인 해방이라는 모양새를 갖추기 위해서 1951년 5월 23일 티베트와 십칠조협의를 체결하여 합병하였다. 이로써 티베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는 시짱 자치구가 되었다. 이후 합병에 반대하는 티베트인들이 정치적인 이유 또는 탄압을 피해 인도로 망명했다.
중국공산당은 반체제적 티베트인에 대한 고문과 학살로써 티베트를 지배하였고, 1960년대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전역을 강타한 문화대혁명의 여파로 3,700개나 되던 사찰은 13개만 남고 모조리 파괴되었다.
'중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위그르족, 천산산맥과 천산고원 > (0) | 2025.05.17 |
---|---|
< 동영상-중국. 140년 만의 최대 '물 폭탄' > (0) | 2023.08.03 |
< 동영상-홍콩 경찰 '고사작전'에 시위대 사실상 함락 > (0) | 2019.11.19 |
< 청일전쟁. 中 125년전 침몰한 군함 > (0) | 2019.09.08 |
< 알타이를 동서로 장악한 '돌궐 제국' > (0) | 2019.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