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특강 더불어 숲-1일째
1강. 더불어숲과 더불어숲 교육
더불어 숲 교육은 개성을 길러주는 교육이다.
또한 함께 숲을 이루는 공동체의 가치도 중요시하는 교육이다.
2강. 가장 먼 여행, 공부
독서 삼독-텍스트를 읽고, 필자를 읽고, 독자 자신을 읽어야 한다.
정조대 개혁의 주체 4인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서이수
-서자 출신들
변화와 창조는 변방에서 이루어진다.
변방이 창조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중심부에 대한 콤플렉스가 없어야 한다.
3강. 고전에서 읽는 세계 인식
문사철-문학, 역사, 철학을 의미
-이성 훈련 중심
-추상력
시서화악-시, 글씨, 그림, 음악
-감성 훈련 중심
-상상력
문사철의 추상력과 시서화악의 상상력을 조화시키는 것임.
영상서사는 압도적 전달력에도 불구하고 인식 주체를 소외시킨다.
4강. 시로 만나는 세계
<시경>
-은말 주초~춘추 중엽까지
-약 600년간의 시와 가를 모아 기원전 6세기 경에 편찬한 것
-채시관이 백성들의 노래룰 수집한 것
-태사관에게 바치면 음률에 맞는 것을 추려서 올렸는데 공자가 정리한 것이 <시경>
<시경>의 시는 민중시, 사실성, 사회미를 가지고 있음.
-북방 문학
<초사>
-한나라 유향이 굴원, 송옥 등의 작품을 모아 펴낸 책
-남방 문학
-낭만주의를 보여줌
'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2년 이수한 연수 > (0) | 2022.03.11 |
---|---|
< 인문학 특강 더불어 숲-2일째 > (0) | 2021.10.16 |
< 더 알고 싶은 우리 역사 이야기-2일째 > (0) | 2021.10.04 |
< 더 알고 싶은 우리 역사 이야기-1일째> (0) | 2021.10.03 |
< 교사, 감성 리더십으로 깨어나다 > (0) | 2021.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