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감성 리더십으로 깨어나다-1일차
1강. 변화하는 시대, 어떻게 수업을 해야 하는가?
수요자 중심의 수업 : 학습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수업
교사들도 학생들의 고민과 생각을 반영한 수업을 해야 됨.
2강. 학교란 무엇인가?
학교가 즐거운 곳이 되려면 상대방,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해봐야 한다.
-예) 똑바로 앉아라. 잡담하지 마라...
3강. 공부란 무엇인가?
'공부란 무엇인가?'를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
-그래야 자신의 방식으로 공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4강. 감정은 무엇인가?
감정은 심리적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우리;를 움직이게 만든다.
모든 감정은 심리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 감정의 유형
1. 우월형-우월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한 유형
2. 통제, 계획형-계획을 먼저 세우는 유형
3. 관계형-협력, 공감을 중요시하는 유형
4. 안정형-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향
5강.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의사확인의 목적-학생과 효과적인 의사소통하기
의사확인 방법-학생이 하는 말의 의도와 느낌 물어봐주기
6강. 학생들은 수정되고 변화해야 하는가?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꾸준히 성장하는 학생들을 바라볼 것
7강. 나는 내가 있는가?
8강. 학생들을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해는 어떤 사람과 문제 사이에 내가 들어가보려고 애 쓰는 것을 말함
이해는 사람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을 말한다.
교사가 학생을 이해하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할 부분은?
-문제 행동 너머에 있는 학생
9강. 학생들을 본다는 것은 무엇인가?
마음 속의 따뜻함으로 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을 바라볼 것
학생들과 대화할 때는 만드시 마음이 들어가야 함
10강. 학생은 어떤 존재인가?
학생 개개인을 한 인간으로 보고, 그들에게 관심을 쏟아줄 때 학생은 자기만의 가치를 발현할 수 있음.
학생을 만날 떄 역할을 내려놓고 만나야 됨.
11강. 학생들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적극적 경청-상대방의 입장에서 그 말의 의미를 읽어내려는 듣기 태도
교사의 대화 방법-결과, 능력, 이성중심
학생의 대화 방법-감정, 과정, 관계중심
진짜 듣는다는 것의 의미-상대방의 마음까지 들어줄 때.
12강. 나의 감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13강. 감성적인 관계는 무엇인가?
효과적 감성 교육의 원리-교사의 삶 자체가 학생들의 경험에 영향 주기
학생, 동료 교사, 이웃들과 관계를 통해 풍성하고 즐거움 가득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주세요!
'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더 알고 싶은 우리 역사 이야기-2일째 > (0) | 2021.10.04 |
---|---|
< 더 알고 싶은 우리 역사 이야기-1일째> (0) | 2021.10.03 |
< 4대 폭력 예방 교육 > (0) | 2021.09.21 |
< 우리 그림, 문학에 취하다-2일차 > (0) | 2021.09.05 |
< 우리 그림, 문학에 취하다-1일차 > (0) | 2021.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