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알고 싶은 우리 역사 이야기-1일째
1강. 역사 속 천문, 우리 하늘에 별을 새기다!
1) 청동기 시대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는 일-농업과 관련, 중요
청동기 시대 고인돌에 별자리를 새긴 성혈이 있음
2) 삼국시대
고구려-일월성수도 ; 북두칠성-죽음, 남두육성-삶을 주관한다는 동양인드르이 믿음을 반영
사신도-백호, 주작, 현무, 청룡
/ 청룡-봄을 주관, 동방의 수호신
현무-여름을 주관, 북방의 수호신, 뱀과 거북이가 얽혀 구성되어 있음
백호-가을을 주관, 서방의 수호신
주작(봉황)-겨울을 주관, 남방의 수호신
3) 고려시대
치성광불여래왕림도 ; 미국 보스턴박물관 소장
-치성광여래=북극성을 의미
4) 조선시대
고구려 천문도를 바탕으로 제작한 석각 천문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도-남송시대 '순우천문도'
별을 별 모양 형태로 사용하기 사작한 사람-피타고라스
우리 선조들은 동그란 원 형태로 표기함
2강. 재미난 조선왕릉 역사를 만나다!
1) 왕의 국장 절차
왕이 죽기 전에는 왕릉을 만들지 않았음
고명 : 왕이 유언을 남김
복 ; 승하한 왕의 혼을 부름
성복 ; 왕의 승하 6일째 처음으로 상복을 입음
사위 ; 새 왕이 즉위식을 올림
청시종묘의 ; 종묘에 전왕의 시호를 올리는 것을 청함
<국장도감의궤> 편찬
-국장의 제반 의식과 진행 절차 등을 상세히 기록
3) 왕릉의 공간과 석물
금천교-건너편은 왕과 왕비의 혼령이 머무는 신성한 곳임을 상징
홍살문-외부로부터 사악한 기운을 막아 신성함을 유지하는 관문
신로(신도)-왼쪽 길로 돌아가신 왕의 혼령이 다니는 길
어로(어도)-오른쪽 길로 제사를 드리는 왕이 다니는 길
능침 공간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음
혼유석-왕과 왕비의 영혼이 나와서 뛰어 놀 수 있는 곳
석양(석호)-맹수와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수호신 / 지하 세계-석양, 지상 세계-석호
문인석-왕과 왕비를 호위
무인석-무관의 무장한 모습을 표현, 왕릉에만 있음
투구를 썼으며 칼을 짚고 있음
3강. 신의 정원 조선왕릉에서 미래를 엿보다!
고려 공민왕릉의 능제를 기본으로 조성함
태조의 건원릉-억새풀로 덮여있다.
유언-"내가 죽으면 함흥에 묻어달라"
그러나 태종의 반대로 함흥의 흙과 억새를 가져와 무덤에 덮음
숙종-정치적 수단인 환국을 이용하여 강력한 왕권을 행사함
-46년간 재위, 4명의 왕후를 두었음
-대동법 완성, 상평통보 유통
-울릉도.독도 문제 다짐, 백두산 정계비 세움
임진왜란때 도굴되어 훼손된 곳은 선릉(성종)과 정릉(중종)이다.
'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문학 특강 더불어 숲-1일째 > (0) | 2021.10.15 |
---|---|
< 더 알고 싶은 우리 역사 이야기-2일째 > (0) | 2021.10.04 |
< 교사, 감성 리더십으로 깨어나다 > (0) | 2021.10.02 |
< 4대 폭력 예방 교육 > (0) | 2021.09.21 |
< 우리 그림, 문학에 취하다-2일차 >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