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제사에 올리는 짐승 잡을 때 쓴 칼 '난도'
난도는 종묘 등 국가제사에 올리는 짐승을 잡을 때 사용하던 칼이다. '난'은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등의 그림에서 칼 손잡이 부분에 세 개의 방울이, 칼등과 칼코에 각 한 개씩 방울이 달려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난도 두 점은 방울이 남아 있지 않지만 방울이 매달려 있던 구멍은 확인할 수 있다. 철로 만들어졌는데, 두 점 중 한 점에는 칼날과 손잡이 연결 부위, 손잡이에 은으로 무늬를 새겨 넣었다.
종묘제사에는 소·돼지·양을 잡아 각 짐승의 털과 피, 간과 창자 사이 기름 등을 제사상에 올렸다. 이렇게 올리는 짐승을 희생(犧牲)이라고 하는데, 왕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는 그 상태를 직접 점검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겼다. 희생을 잡을 때도 정해진 절차와 형식을 엄격히 따랐다. 이때 사용하던 칼이 바로 난도다.
칼에 달린 다섯 개의 방울은 고대로부터 사용하던 다섯 가지 음계(궁·상·각·치·우)를 나타낸다. 난도를 흔들어 방울을 울리게 하며, 이때 음의 조화를 이룬 뒤에야 고기를 잘랐다고 한다.
잡은 희생의 털과 피는 넓은 쟁반 모양의 모혈반이라는 제기에 담고, 간과 창자 기름은 간료등이라는 그릇에 담는데, 이때 간은 울창이라는 제사용 술로 씻었다. 제사상에 올리고 남은 털과 피는 깨끗한 그릇에 담아두었다가 제사가 끝나면 땅에 잘 묻었다. 난도는 제사를 지낼 때 배향자에 대한 극진한 예우와 후손의 공경심을 드러내는 도구였다.
'조선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유배의 섬-제주 > (0) | 2022.09.25 |
---|---|
< 유성룡-징비록 > (2) | 2022.08.04 |
< 우리 해안을 지켜준 강화도 '돈대' > (0) | 2022.02.16 |
< 18세기에는 왜 궁궐에 호랑이가 자주 출몰했을까 > (0) | 2021.12.17 |
< 선조의 등극, 사림들의 세상이 오다 > (0) | 2021.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