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징비록
유성룡(1542~1607)은 임진왜란 발발 직전 군관인 이순신을 천거해 선조로 하여금 전라좌수사로 임명하도록 하였으며 임진왜란 당시 열세였던 조선의 전세 역전에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당시 4도 도제찰사, 영의정으로 조선 조정을 총지휘했던 그는 정인홍, 이이첨 등 북인의 상소로 인해 노량해전이 벌어진 날 영의정에서 관직 삭탈하게 된다.
안동으로 내려가 선조의 부름에도 올라가지 않고 임진왜란 때 겪은 후회와 교훈을 후세에 남기기 위해 <징비록>을 썼다.
<징비록>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전란의 잿더미 속에서 유성룡이 직접 '징비(懲毖·지난 잘못과 비리를 경계하여 삼감)'를 위해 지나간 전쟁을 되돌아보며 쓴 책이다.
'조선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 전북도지정문화재 지정 > (1) | 2022.11.18 |
---|---|
< 유배의 섬-제주 > (0) | 2022.09.25 |
< 국가제사에 올리는 짐승 잡을 때 쓴 칼 '난도' > (1) | 2022.03.02 |
< 우리 해안을 지켜준 강화도 '돈대' > (0) | 2022.02.16 |
< 18세기에는 왜 궁궐에 호랑이가 자주 출몰했을까 >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