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령군이 된 미군, 군정 3년 > 점령군이 된 미군, 군정 3년 2차 세계대전을 도발한 일제가 미국에 공식항복한 날은 1945년 9월 2일 도쿄만의 미국 군함 미조리호 함상에서였다. 일본정부 대표 시게미쯔 가오루, 일본군 대표 우메즈 미찌로우는 맥아더 장군 앞에서 포츠담선언을 수락하고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을 하여 일.. 해방기 2019.03.04
< 임정 군사작전 5일 앞두고 日 패망 > 임정 군사작전 5일 앞두고 日 패망 1940년 9월 한국광복군을 창설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5년 8월 7일 미국 첩보기관 전략사무국(OSS)과 한미 연합 군사작전을 최종 합의했다. 20일까지 한반도에 침투하기로 하고 출동 명령을 기다렸다. 하지만 15일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다. 임정으.. 해방기 2019.02.21
< 김 구 및 임정 요인들. 개인 자격으로 입국 > 김 구 및 임정 요인들. 개인 자격으로 입국 당시 해방 조국은 미·소 점령지로 전락하여 독립투사들은 귀국도 맘대로 하기 못 하였다. '개인 자격' 서약 받은 뒤에야 미군, 임정에 귀국 항공편 제공하였다. 일본에서 귀환하려는 동포들은 '지참금 제한' 미군 조치로 고통받았다. "귀국 일본.. 해방기 2019.01.20
< 광복군의 짧은 귀환 > 광복군의 짧은 귀환 1945년 8월 18일. 한국광복군 정진대원 이범석, 김준엽, 노능서, 장준하가 여의도비행장(현 여의도공원)에 착륙한 C-47 수송기에서 뛰어내렸다. 승전국 대열에 합류하기 위한 치열한 전투를 계획한 터였다. 일왕의 항복 이후에도 한반도의 일본군은 "아직 무장해제 명령.. 해방기 2018.08.18
< 제주 4. 3 사태 > 제주 4. 3 사태 4·3의 발단은 1947년 3·1절 기념행사에서 발생한 발포사건이었다. 가두시위 과정에서 어린아이가 경찰이 탄 말에 차여 다쳤음에도 기마 경찰이 그냥 지나치자 항의가 터져 나왔고, 경찰이 군중에게 총격을 가해 민간인 6명이 사망했다. 도민들은 이에 항의해 같은 달 10일 .. 해방기 2018.03.31
< 사진 기록으로 짚어보는 제주 4·3 사태 > 사진 기록으로 짚어보는 제주 4·3 사태 1948년 8월2일 경비대가 탈영했던 경비대원 3명을 제주시 근교에서 총살하기 직전의 모습. 당시 경비대원의 총살은 미군 입회 아래 집행됐다. 체포된 무장대원으로 추정되는 인물들. 미군은 사진에 “최근 진행 중인 테러 기간에 제주도에서 포획된 .. 해방기 2018.03.19
< 이승만과 김일성, 어떻게 정권을 잡았을까? > 이승만과 김일성, 어떻게 정권을 잡았을까? * 이승만-김일성 집권 배경 공통점, '신임' 1945년 8월 10일, 일본의 포츠담회담 수락으로 갑작스럽게 종전을 맞은 미국은 한반도 남쪽에 친미정권 수립을 위해 춘추전국시대처럼 군웅할거 하는 수많은 인사를 하나하나 저울질했다. 그 가운데 여.. 해방기 2018.01.07
< 김일성, 정권 장악 과정 > 김일성, 정권 장악 과정 1912년 4월 15일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현 평양시 만경대)에서 아버지 김형직(金亨稷)과 어머니 강반석(康盤石)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김성주(金成柱)다. 어린 시절 보통학교인 창덕학교를 거쳐 1926년 부모가 있는 만주로 건너가 길림에 있는 육문중.. 해방기 2018.01.07
< 北으로 간 좌파 인사 김원봉 > 北으로 간 좌파 인사 김원봉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패망할 무렵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 중에는 좌파 사회주의 계열 인사도 있었다. 이 가운데 일부는 광복 후 정부 수립을 놓고 남북, 좌우가 극심한 대립을 보이자 북한을 선택했다. 북한 정권에 참여한 임정 요인 중 대표적 인물은 군무부.. 해방기 2018.01.01
< 나란히 선 김일성, 박헌영 그리고 김원봉 > 나란히 선 김일성, 박헌영 그리고 김원봉 ▲ 조선민주주의공화국 내각상(제1열 좌측부터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정준택, 부수상 겸 산업상 김책, 부수상 홍명희, 수상 김일성, 부수상 겸 외무상 박헌영, 민족보위상 최용건, 문화선전상 허정숙, 제2열 보건상 리영남, 국가검열상 김원봉, .. 해방기 201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