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련군에게 무기 넘겨받은 공산주의자들, 반대세력 학살 > 소련군에게 무기 넘겨받은 공산주의자들, 반대세력 학살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우리는 평화와 민주주의를 기대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소련군이 진주해 우리 백성을 약탈하고 많은 비행을 자행하고 있다. 게다가 이 모든 것이 공산당 지배를 예고하고 있다. 우리는 '공산 한국'을 원하.. 해방기 2017.08.16
< 정치 암살, 왜곡된 현대사의 서막 > 정치 암살, 왜곡된 현대사의 서막 8·15 광복, 기쁨은 컸으나 오래가지는 못했다. 일제라는 공통의 적이 사라진 상태에서 각 정치세력은 각개약진하며 해방된 조국의 미래를 어떻게 설계할지를 두고 격렬하게 투쟁했다. 미군, 소련군의 진주는 정세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정치 암살.. 해방기 2016.08.12
<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실패는 주도권 다툼에서 비롯" >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실패는 주도권 다툼에서 비롯" 최초의 건국 준비 단체인 '조선건국준비위원회'(건준)의 실패는 내부 주도권 다툼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인식 중앙대 교수는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공산)주의 세력 사이의 주도권 다툼은 정면 충돌을 낳았고 결국 건준.. 해방기 2015.12.21
< 당신이 잘 몰랐던 70년 전 광복 이야기 > 당신이 잘 몰랐던 70년 전 광복 이야기 지금으로부터 70년 전인,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 선언을 하면서 조선은 광복을 맞이했습니다. 그러나 8월 15일 광복 당일에는 “대한민국 독립 만세”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왜 그랬을까요? 또 광복은 했지만 여전히 일본군이 한.. 해방기 2015.08.14
< I. 광복과 남북분단 > I. 광복과 남북분단 1. 도둑처럼 찾아 온 광복 1941년 12월 7일 일요일 아침 6시 하와이 진주만 북방 440㎞ 해상에 숨어든 아카기(赤城) 등 6척의 항공모함에서 183대의 함재기(艦載機)가 날아올랐다. “도-도-도.” 일본어 “도쓰케키(돌격)”의 첫음절을 딴 공격 신호와 함께 일본의 제로전투.. 해방기 2015.08.12
< 김일성 시대 수많은 '희생양' > 김일성 시대 수많은 '희생양' 김일성은 1인 지배체제 확립을 위해 수차례의 '전쟁'을 통해 정치적 경쟁자들을 모조리 숙청했다. 해방 직후 소련군을 등에 업고 북조선공산당을 설립한 김 주석은 1949년 6월 중국에서 활동했던 '연안파' 중심의 조선신민당, 남로당 등을 통합해 조선노동당을.. 해방기 2013.12.10
< 해방 후 한인 귀환문제-조국은 해방됐지만 그들은 돌아오지 못했다 > 해방 후 한인 귀환문제-조국은 해방됐지만 그들은 돌아오지 못했다 일제가 패망한 1945년 당시 몽골 울란바토르에는 1천여 명으로 추정되는 한인들이 있었다. 이들은 일제에 의해 울란바토르로 끌려와 강제노역에 시달리는 등 힘겨운 삶을 살았다. 패전 후 일본은 미국을 통해 옛소련·몽.. 해방기 2013.03.08
< 만주 조선인의 ‘지워진 9년’ > 만주 조선인의 ‘지워진 9년’ 역사학자 염인호(서울시립대 교수)씨가 쓴 < 또 하나의 한국전쟁 > 은 이 나라가 해방을 맞은 1945년부터 한국전쟁이 끝난 1953년까지를 다룬다. 이 시기, 만주지역 조선인들의 삶과 투쟁. 이들의 '선택'과 '조국'에 대한 생각을 화두로 부여잡은 책이다. 지.. 해방기 2010.09.04
< 환희와 좌절이 교차한 해방의 공간들 > 환희와 좌절이 교차한 해방의 공간들 광복군 선발대 4명 여의도 착륙했다 日軍에 막혀 되돌아가 옛 동대문운동장터에선 김구 등 臨政요인 개선환영 행사도 일본의 식민지배는 조국 강토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풀 한 포기, 길가의 포석 하나에까지 식민지배의 흔적이 남았다. 민족이 입은 정.. 해방기 2010.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