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전쟁시 日 잠수함, 하와이 근해에서 발견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해군이 사용하던 잠수함이 하와이 남쪽의 해저에서 발견됐다.
하와이 해저탐사연구소(HURL)와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탐사팀은 지난 12일, 하와이 남쪽 해저 920m 지점에 가라앉아 있던 일본의 잠수함을 찾아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찾아낸 잠수함은 태평양 전쟁 말기에 일본이 건조한 'I-401'함으로, 3대의 공격기를 탑재할 수 있어 '잠수항모'로 더 유명하다.
당시 소련은 미국과 함께 2차 세계대전 전승국으로 패전국들의 기술을 요구할 권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잠수함은 길이 122m, 수중배수량 6500톤으로 역사상 가장 큰 재래식 잠수함으로도 유명한데, 이 정도는 현재 미해군의 주력인 'LA급' 원자력 잠수함과 비슷한
또 공격기를 운용하기 위해 각종 폭탄 및 어뢰와 '캐터펄트'까지 장착하고 있었다.
캐터펄트는 활주로가 짧은 항공모함에서 비행기를 이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다.
당시 일본해군은 이 잠수함들을 이용해 미국 서부 연안의 도시들을 세균무기로 공격할 계획을 세웠으나, 전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파나마 운하로 목표를 변경했다.
독일이 패한 후, 대서양에서 활동하던 미해군이 태평양으로 넘어올 것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빠르게 무너지는 전선 탓에 이렇다 할 전과도 올리지 못한채 종전을 맞았다.
한편, 이번 탐사는 원래 당시 가장 빠른 잠수함이었던 'I-201'을 찾는 것이 목표였으나 I-201함 대신 I-401함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I-401함은 이미 지난 2005년
원래 목표였던 I-201함은 물 속에서 저항을 줄여주는 유선형 선체와 수납식 포탑 등, 10여 년 뒤의 냉전시절에 등장한 잠수함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어 당시 일본해군이 가진 기술력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 태평양 해저에서 日 잠수함 2척 발견 >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미 해군이 나포해 빠뜨렸던 일본 잠수함 2척이 하와이의 진주만
남쪽 태평양 해저에서 발견됐다.
하와이 해저탐사연구소(HURL)와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은 지난 2월 HURL 잠수함 2척이 수심 914m 깊이의 태평양 해저에서 일본 잠수함 2척을 발견했다고 12일 발표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산하 태평양군도 국립해양보호구역의 해양유물 코디네이터인 한스 반 틸뷔르흐는 이들 중 한 척의 길이는 122m로 여러 대의 비행기와 세계 여행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한 연료를 싣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다른 한 척은 유선형으로 사령탑과 개폐식 대포를 탑재하고 있어 냉전시대의 것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견된 것은 일본이 전쟁 직후 시찰을 위해 진주만에 파견한 잠수함 5척 중 2척으로, 러시아 과학자들이 종전협정을 들어 관련 기술에 대한 접근을 요구하기 시작하자 1946년에 미 해군이 이들 잠수함을 바닷속에 빠뜨렸다.
HURL의 잠수함 조종사인 테리 커비와 연구소 운영국장인 맥스 크리머는 잠수함을 몰고 잠수 조사를 비롯한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 이것들을 발견했다.
커비는 하와이의 오아후섬 남쪽 해저가 "마치 거대한 수중 박물관 같다"면서 이번 해저유물 탐사에 잠수조사를 이용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매우 성공적"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1992년 잠수 조사를 이용하기 시작해 2002년에 진주만 공습 당시 침몰한 일본의 소형 잠수함을 찾아낸 바 있으며 2005년에는 연구소 과학자들이 3대의 비행기를 싣고 있던 일본 잠수함의 잔해를 발견하기도 했다.
'동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美 연구팀 “‘호빗족’ 현생인류 조상 아니다” > (0) | 2010.01.22 |
---|---|
< 베트남에 ‘한반도 사촌 고인돌’ 있다 > (0) | 2009.12.05 |
< 아웅산 수치여사 > (0) | 2009.09.03 |
< 170만명 목숨 앗아간 '킬링필드' > (0) | 2009.09.03 |
< 파푸아 뉴기니의 악어 전사부족 > (0) | 200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