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역사와 독도 바로알기-2일차
3강. 일본의 교과서 검정 과정과 왜곡 사례
일본의 교과서 제도는 국정이 아니라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검정 제도임.
/ 검정 제도-적절성 여부만 판별하는 것
1년차 편집-교과서 발행자 /
2년차 검정-문부과학성 장관 /
3년차 채택-공립학교 ; 소관 교육위원회 / 국, 사립 : 학교장
제조, 공급-교과서 발행업자, 공급업자 ; 발행 교과서의 종류 및 부수
4년차 사용
고노 담화(1993) "역사적 진실을 회피하지 않고 역사 교육을 통해 오랫동안 기억하겠다"
무라야마 담화 "아시아 제국의 여러분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줬다.
반성의 뜻을 표하며 진심으로 사죄한다"
4강.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실은?
스마랑 사건-일본군들이 인도네시아 자바섬 스마랑 근교 네덜란드 수용소에서
네덜란드 여성 24명을 강제로 끌고가 성 노예로 부린 사건
'위안소' 설치 목적-강간 방지, 성병 방지, 장병들 사기 고양, 스파이 방지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고발-1993년 고노 담화 발표 "정부 책임 인정 및 사죄, 반성"
5강. 야스쿠니 신사의 역사적 기원과 논란
미국 페리 제독의 개항 요구(1853)
-천황 중심-개항 찬성 / 막부 중심-개항 반대
-막부에 의해 많은 사람들이 희생됨
-초혼사를 세워 막부에 의해 희생된 사람들 추모
-1869년 천황측의 승리 : 사망한 천황측 관군(3.500)의 영혼을 추모하려고 도쿄 초혼사 건립
-야스쿠니 신사의 전신, 자신들의 승리 정당성 주장
-1879년 야스쿠니 신사로 개명
-위패나 유골은 없음
-한국인 21.000명이 합사되어 있음
6강. 동북공정 추진의 배경과 현황
동북공정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 동북 3성의 사회과학원 주도(2002-2007년까지 5년간)
-길림성, 요령성, 흑룡강성의 역사, 지리, 민족에 관한 문제를 집중 연구하는 것
-중국의 국가적 안정을 꾀하려는 거시적 목적과도 연관되어 있음
1998년 3월 12일 밤 10시 북한이 '전시동원령' 선포
7강. 동북공정의 구체적인 사례
8강. 동북공정의 대응 및 국내 역사연구 방향
조공-중국에 사신을 파견하여 예물을 바치는 것
책봉-중국에 사신을 보내 임금, 왕비, 왕세자 등을 봉하는 것
9강. 아름다운 우리 땅 독도
경상북도 울릉군 을릉읍 독도리
천연기념물 336호, 화산섬
독도 ; 돌로 된 섬이라는 뜻
우산도(우산국),
가지도(강치)-1905년 일본의 강치잡이 독점
석도(돌로 된 섬=돌섬)
시 스택-암석해안에서 기반암이 육지에서 분리되어 초대와 같이 형성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0강. 한국과 일본의 독도 인식 차이
일본-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 따라 일본 영토가 확정되었음을 주장
11강. 전근대 독도의 역사
우산도-독도의 예 이름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이름
신라 지증왕 512년 신라에 복속됨
조선 태종 3년 왜구의 준동으로 울릉도 주민들을 육지로 옮김.
공도정책 : 섬 주민들을 육지로 이주시켜 섬을 비우는 극단적인 조치
에도막부-'죽도도해 금지령' 내림.
12강. 근현대 독도의 역사
1895년-일본인 울릉도 불법 거주, 활동 피해 심각
나카이-러일전쟁 중 강치잡이 독점권 신청
-외무성 시네마현 고시 제 40호로 독도 불법 편입
한국전쟁을 틈타 일본인들이 독도에 불법 상륙
-홍순철 등 울릉도 청년들이 '독도의용수비대' 결성
독도순라반이 독도경비대의 전신
현 경북지방경찰청 소속 울릉경비대 산하 경찰조직인 독도경비대가 수비하고 있음.
13강.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부당성-1
품의한 취지의 죽도 외 일도이 건에 대해 본방은 관계가 없다는 것을 명심할 것'이라는 지령을 받은 두 개의 기관은?
-내무성, 시네마 현
14강.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부당성-2
15강. 동북아 역사 인식 차이의 극복과 향후 대응 전략
2002년 한일 역사 공동 연구위원회 발족
'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드락사드락 걸으며 배우는 전주 이야기-1일차 > (0) | 2021.08.01 |
---|---|
< 청소년기 발달 이해 > (0) | 2021.07.31 |
< 동북아 역사와 독도 바로알기-1일차 > (0) | 2021.07.29 |
< 누구나 가고 싶은 전라북도 톺아보기-2일차 > (0) | 2021.07.29 |
< 누구나 가고 싶은 전라북도 톺아보기-1일차 > (0) | 2021.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