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억과 기념-2일차
2강. 국민이 주인인 국가를 꿈꾸다
연통제-임시정부의 문서 전달, 군자금 조달
교통국-정보의 수집, 분석, 연락 업무 담당
정정화 열사-<장강일기> 임시정부 안 살림 담당(군자금 조달 )
* 1920년대
1. 민족주의 계열
-자치 운동론 대두
-타협주의와 비타협주의 세력으로 분열
* 광복 직전 독립을 준비한 독립운동 단체들
1.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 독립당을 기반으로 임시정부 강화
-삼균주의 주장
2. 조선독립동맹
-중국 화북지방에서 결석
-조선의용대를 조선 의용군으로 개편
-중국 공산당의 팔로군과 함께 항일 전쟁 수행
3. 조선건국동맹
-여운형 등이 중심
3강. 하나 하나가 모두 소중한 독립의 불꽃
* 육군이 부르는 독립군가
신대한국 독립국의 백만용사야
조국의 부르심을 네가 아느냐
삼천리 삼천만의 우리 동포들
건질이 너와 나로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 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 1910년대 국내 항일 비밀 결사 단체
1. 의열단
-'조선 혁명 선언' 활동
-목표 ; 폭력 투젱을 통한 민중의 직접 혁명
-일본인 요인 암살, 식민지 통치 기관 폭파에 주력
윤봉길의사 의거 이후로 중국 국민당 정부가 임시정부를 인정하고 지원하였음.
* 6.10 만세 운동
-순종의 장례일에 맞춰 만세운동 추진
-학생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함
4강. 독립을 위한 의지가 고스란히 담긴 기억의 터에 가다
서대문 형무소 공작사-형무소, 군부대 등에 필요한 물품을 만들어 공급한 공장
여순감옥
-1902년 러시아가 건축 시작 / 85칸의 방
-1907년 일본이 증축 / 253칸의 방
-신채호, 안중근 수감, 순국
5강. 독립의 시선으로 보는 기억과 기념
6강. 우리는 기억합니다
우리나라 보훈제도의 기원
-1950년 공비 토벌 희생자들을 위해 마련한 '군사원호법' 제정
-1984년 국가유공자 예우제도로 고쳐짐.
1951년 흥남철수작전
-군의관 현봉학의 호소
-메러디스 빅토리호
-가장 많은 피난민을 싣고 흥남 부두를 떠난 마지막 배
2002년 6월 29일 제 2 연평해전
-북한 경비정의 기습 선제 공격
-6명 전사
2010년 3월 26일 천안함 피격
-46명 전사
2010년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도발 / / 서해 수호의 날
'연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평화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억과 기념-4일차 > (0) | 2022.04.14 |
---|---|
< 평화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억과 기념-3일차 > (0) | 2022.04.13 |
< 평화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기억과 기념-1일차 > (0) | 2022.04.11 |
< 현장 멘토들과 함께 하는 인도주의 실천 가이드-3일차 > (0) | 2022.03.26 |
< 현장 멘토들과 함께 하는 인도주의 실천 가이드-2일차 > (0)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