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71

< 미군 최정예 82공수사단 동유럽 배치 >

미군 최정예 82공수사단 동유럽 배치 미국이 동유럽에 미군 3,000명을 추가 배치하기로 하면서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정세가 좀 더 급박해지고 있다. 특히 미 육군 최정예부대 82공수사단이 미국 본토에서 폴란드로 급파된 것은 상징적 압박 카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對)러시아 응전 의지를 확실히 드러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파괴적 조치”라고 반발했다. 우크라이나 국경에 미국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ㆍ나토),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군사력이 총집결하는 양상이다. 외교 협상 국면에서 공세 카드는 미국이 먼저 꺼내 들었다. 존 커비 미 국방부 대변인은 2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의 미군 병력 3,000명 동유럽 추가 배치 승인 사실을 발표했다. 커비 대변인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州) 포트 브랙 육..

군사 2022.02.03

< 북한 미사일이 타격한 함경북도 동해안 돌섬 '알섬' >

북한 미사일이 타격한 함경북도 동해안 돌섬 '알섬' 북한이 2022년 새해 들어 6차례나 미사일 시험발사를 하면서 거의 매주 미사일을 얻어맞은 곳이 있다. 바로 북한 측 동해 연안의 무인도 '알섬'이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8일자에서 국방과학원이 앞서 장거리 순항미사일(25일) 및 지대지 전술유도탄 시험 발사한 미사일이 탄착한 곳은 함경북도 화대군 앞바다의 바위섬 '알섬'이다. '알섬'은 통상 사람이 살지 않는 작은 섬을 이르는 말이다. 북한 당국은 탄도미사일 사격훈련 때마다 함북 남쪽 끝의 이 섬을 종종 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북한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동북쪽으로 약 190㎞ 거리에 무인도 '알섬'이 있다. 직선 왼쪽 끝이 함흥, 오른쪽 끝이 알섬. 신문은 "(27일 시험에서) 발..

군사 2022.01.30

< 탈북한 지역으로 월북, 軍 허술한 경계 >

탈북한 지역으로 월북, 軍 허술한 경계 지난 1일 강원도 동부전선 최전방에서 발생한 월북사건을 계기로 우리 군 경계태세의 맹점이 재차 드러났다. 특히 이번 월북자의 신원이 지난 2020년 11월 같은 지역에서 이른바 '월책 귀순'을 통해 우리 측으로 넘어온 탈북민 A씨로 파악되면서 그 파장이 커지고 있다. 한 번도 아닌 두 번씩이나 그것도 같은 탈북민에게 철책이 뚫렸다는 이유에서다. A씨는 2020년 11월 당시에도 고성의 육군 제22보병사단 관할 경계구역에서 최전방 철책을 지나 우리 측으로 넘어왔고, 이번에도 비슷한 경로를 통해 북한으로 돌아갔다. A씨가 작년부터 중국과 러시아로의 해외여행을 알아봤다는 얘기도 있다. A씨는 월북 당일 민통선 인근 CCTV 카메라에 포착된 뒤 6시간여가 지난 오후 6시4..

군사 2022.01.03

< 세계 최강 폭격기부대 '미 8공군' >

세계 최강 폭격기부대 '미 8공군' 미 8공군은 B-52, B-1B, B-2를 운용하는 세계 최강의 폭격기 부대이다. 미 공군 지구권 타격사령부에 속해 있으며 5개 폭격기 비행단과 지원부대를 가지고 있다. 핵 및 재래식 공격임무를 맡고 있다. 미8공군은 제2차 세계대전 초반이던 1941년 1월 19일 미 육군 항공대 제8폭격기 사령부로 최초 창설되었다. 제8폭격기 사령부는 이후 미국에서 영국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상징하는 폭격기 중 하나인 B-17이 제8폭격기 사령부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B-17 폭격기들은 1942년 5월 12일 처음으로 폭격임무에 투입된다. 목표는 나치 독일이 점령한 프랑스 루앵소트빌의 철도 조차장으로, 폭격과정에서 2대의 B-17 폭격기가 피해를 입었지만 전과는 상당..

군사 2021.11.11

< 국군 장성 서열의 세계 >

국군 장성 서열의 세계 국군에 대장이 몇 명이나 될까? 얼마전까진 8명이었지만, 지금은 7명이다. 서열 순서대로 열거하면 이렇다. 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이 우선 변하지 않는 1위부터 4위까지의 자리를 차지한다. 이후 3명의 서열은 가변적이다. 한미연합군 부사령관과 육군 지상작전사령관, 육군 제2작전사령관이 모두 대장 계급인데, 이들의 서열은 진급일 순서로 결정된다. 사관학교 기수나 나이 등은 관계 없다. 사실 이같은 서열은 정리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보통 기수에 따라 군 인사가 이뤄져왔던 점에서 그간 이같은 서열 정리가 따로 필요하지 않았지만, 문재인정부 들어서 해군참모총장과 공군참모총장이 다른 육군대장(지상작전사령관 또는 제2작전사령관) 보다 기수가 낮아지는 현상이 ..

군사 2021.11.01

< 공정대원 침투, 합동상륙훈련 >

공정대원 침투, 합동상륙훈련 호국훈련의 하나인 합동상륙훈련이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열렸다. 해병대 1사단을 중심으로 해군, 육군, 공군 등은 상륙함, 수송기, 장갑차, 헬기, 전차, 공기부양정 등 다양한 장비를 활용해 방어선을 뚫고 상륙하는 훈련을 했다. 가장 먼저 해병대 공정대원들이 수송기에서 낙하산을 타고 침투했다. 이어 수색대원들이 수중 장애물을 폭파하자 물기둥이 수십 미터 높이로 솟구쳐 올랐다. 아파치 공격헬기와 블랙호크 등 헬기가 하늘에서 화력을 지원하며 엄호하는 가운데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가 연막탄을 터뜨리며 육지에 도착했다. 해안에 도착한 장갑차가 곧바로 돌진하자 전차 등을 실은 민간 카페리와 공기부양정이 뒤를 이어 해안에 상륙했다.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해안에서 ..

군사 2021.10.31

< 동영상-한국의 에어포스 원 >

동영상-한국의 에어포스 원 https://tv.kakao.com/v/423479801 에어포스원은 '공군 1호기'라는 뜻으로, 비행기 명칭이 아니라 미국 대통령이 이용하는 항공기 호출부호입니다. 따라서 '한국판 에어포스원'이라는 건 한국의 공군 1호기, 즉 한국의 대통령 전용기를 말하는 거죠. 콜 사인은 '코드 원(Code One)'입니다. 대통령 전용기는 이동 시 대통령 안전을 보장하고 유사시에는 군을 지휘하는 장소가 되기 때문에 국력을 상징하는 동시에 국가 안보를 위한 핵심 설비인데요. 현재 대통령 전용기로 사용하는 보잉 747-400은 2층 구조입니다. 기내 1층 앞쪽에는 집무실과 침실, 휴식 시설 등 대통령 전용공간이 있고 뒤쪽은 기업인 등 비공식 수행원과 기자들의 공간이라고 합니다. 2층은 장관..

군사 2021.10.31

< 英 항공모함의 비결 >

英 항공모함의 비결 https://youtu.be/5yskQrL0-00 ‘10년 뒤 한국 경항모 미래’ 영국 항모 다녀오다 I #박용한 배틀그라운드 지난 1일 한국 근해에서 훈련 중인 영국 해군 퀸 엘리자베스 항공모함을 다녀왔다. 여기서 10년 뒤 한국 경항모를 미리 만나볼 수 있었다. 퀸 엘리자베스함(항모)은 전통적인 해양 강국인 영국의 youtu.be 퀸 엘리자베스함(항모)은 전통적인 해양 강국인 영국의 최신 기술로 건조돼 2017년 취역했다. 영국 퀸 엘리자베스 항모에서 영국 공군 F-35B 전투기가 비바람이 세차게 몰아치는 가운데 갑판에 고인 빗물을 몰아내며 출격하고 있다. 바닷바람에 흔들리는 헬기를 타고 30여분 날아갔다. 멀미가 느껴지던 그때 창밖으로 큰 덩치가 보였다. 항모는 6만 5000t..

군사 2021.09.05

< 공정통제사(Combat Control Team) >

공정통제사(Combat Control Team) CCT는 전시에 가장 먼저 적지로 침투해 아군 수송기에 공수부대 및 물자투하 지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현장 안전을 확보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로서 '붉은 베레모'가 상징이다. 이에 따라 CCT 요원들은 저공·고공 낙하는 물론 육상·수상·수중 등 모든 종류의 침투기술을 익혀야 한다. 해외파병시엔 항공관제·유도 등의 임무도 수행한다. CCT 요원으로 선발되면 공군 부사관 후보생 교육 12주에 항공관제 교육 16주, 그리고 1년 간의 자체교육과 3년 간의 육·해군 특수부대 및 해병대 등의 위탁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우리 군의 CCT는 1978년 창설됐으며 현재는 공군 제5공중기동비행단 제259특수임무대대 예하 '특수임무대'란 이름으로 20~3..

군사 2021.08.26

< ‘Deserter Pursuit’(군무이탈 체포전담조) >

‘Deserter Pursuit’(군무이탈 체포전담조) DP는 ‘Deserter Pursuit’(군무이탈 체포전담조)의 줄임말이다. 실제 대한민국 육군에 실제로 있는 헌병 보직인데, 주로 조장과 조원 2인 1조로 다니며 탈영병 체포 임무를 수행한다. 소수의 군인만이 차출되며, 임무를 위해 머리를 기르거나 사복을 입은 채 군대 밖을 다니기에 군필자들에게도 낯선 존재다.

군사 2021.08.26